본문 : 누가복음 15장 11-32절
너무나도 유명한 '탕자' 이야기이다.
작은 아들이 독립을 선언하며 유산을 청구한다.
아버지가 돌아가셔야 받을 수 있는 유산을 생전에 분할청구를 하고 있는 불효자이다.
그러나 아버지는 허락하여 두 아들에게 각각 나눠 주었다.
작은 아들은 유산을 현금화하여 외국으로 떠났다.
허랑방탕하다가 경제 위기가 닦치자 가진 것을 다 잃고
남의 집 돼지를 치는 일을 하며 연명하며 살게 되었다.
돼지를 치는데도 주엄 열매마저 먹을 것을 얻지 못해 굶어 죽어가는
자신의 모습을 보니 얼마나 한심하고 처랑해 보였겠는가?
곰곰히 생각해보니 아버지 집의 품꾼들이 배부르고 편하게 지낸다는 생각이 미친다.
그래서 결단한다. 아버지께 잘못을 고하고 용서를 구하여
품꾼으로 지내는 것이 지금보다는 낫겠다는 생각이었다.
용기를 내어 아버지 집으로 돌아온다.
어떤 심정이었을까?
문전박대를 당하지는 않을까? 두들겨패고 쫓아내지는 않을까?
수많은 생각들이 머리속을 가득 매우고 힘든 발걸음을 내딛고 있는데
멀리서 아버지가 달려오셔서 목을 안고 입을 맞추며 환영한다.
얼마나 당황했을까? 얼떨떨 했을 것이다.
몸둘바를 모르고 아버지 손에 이끌려 집으로 들어갔을 것이다.
그런데 그것이 전부가 아니다.
아버지가 종들을 시켜 가락지를 끼우고, 신을 신기며, 옷을 갈아 입게 하신다.
작은 아들은 품꾼이라도 받아주면 다행히고 감사하겠다는 기대 속에 있는데
아들로 신분을 회복시키시고 있다.
여기가 끝이 아니다.
살진 송아지를 잡고 잔치를 벌인다.
" 이 내 아들은 죽었다가 다시 살아났으며, 내가 잃었다가 다시 얻었노라"
아버지가 이작은 아들을 향한 마음을 읽을 수 있는 대목이다.
어느 관점에서 본문을 읽을 것인가도 중요하다.
아버지의 태도와 마음은 하나님과 닮았다.
작은 아들은 우리의 모습이다. 죄에 빠진 인간들의 모습이다.
집 안에 있는 큰 아들은 아들로서 자신의 유산을 상속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자신을 종으로 생각하고 살아가면서, 자신의 것을 누릴 줄 모르고 불평만 하고 있다.
아니 자기 것으로 잔치하는 아버지가 못마땅
교회 공동체 안에 있는 우리는 큰 아들을 많이 닮았다.
택정과 유기 교리 속에서 본 다면 하나님이 만세 전에 택정하셨다가 잃어버렸던 자들이다.
특히 작은 아들은 아직 돌아오지 않은 아담 네페쉬가 아니겠는가
[돌아온 탕자 이야기]는 책으로, 영화로, 노래로 수없이 각색되어 전해지고 있다.
작은 아들의 행동 중에서 가장 잘한 행동이 자신의 실수를 깨닫고 아버지 집으로 돌아간 것이다
아버지 집에 대한 좋은 기억이 그를 아버지가 계신 집으로 향하게 만들었다.
창조주 하나님이 만드신 아름다운 본향에 대한 생각이
우리를 이 죄악된 새상에서 이글어내어 영원한 본향을 사모하고 나아가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
사랑하는 성삼위 하나님이 계시는 천국을 사모하고 향하여 나아가는 것과 같다.
천국에 대한 성경의 이미지들은 우리를 어떤 상황 속에서도 이끄는 원동력이다.
지난 본문에 이어 죄인 한 명이 돌아오는 것이
하늘에서 얼마나 큰 기쁨이 되는지 말씀하고 계신다.
잃어버린 양 한마리, 잃어버린 한 드라크마, 잃어버린 아들 이야기는 다 같은 내용이다.
잃어버린 자들을 찾고 찾으시는 하나님의 아버지의 마음을 깨달아야 한다.
잃어버린 아들이 돌아오면 하늘 잔치를 벌이시는 아버지 하나님의 마음을 헤아려 본다.
잃어버린 자를 찾아 피조 세계인 이곳까지 찾아오신 예수님의 사랑을 생각한다.
그 사랑, 그 은혜를 인간은 다 이해할 수 없다.
---------
[잃어버린 두 아들 이야기]
집 나간 아들을 기다리시며, 돌아온 아들을 적극적으로 맞아주시는 아버지이시다.
돌아온 아들이 집에 오는 내내 대뇌였을 말들을 내뱉기도 전에,
아버지는 아들의 목에 팔을 두르고 입을 맞춘다.
아버지의 받아들임이 아들의 회개보다 앞섬을 보여준다.
아버지의 사랑은 아들의 뉘우침을 조건으로 하지 않았다.
"이제부터 내 말 들어라"하는 단속조차 없다.
아버지는 말이 아닌 행동으로 아들을 용서했다.
하나님이 하나뿐인 아들을 십자가에서 내어주신 것 역시 '말이 아닌 행동으로'
그분의 '용서와 사랑'을 확증해 주신 것이다(롬 5:8)
자격 없는 아들의 지위를 회복시키는 아버지이십니다.
'옷, 가락지, 신'은 모두 아들의 지위가 회복되었음을 나타내주는 것들입니다.
'살진 송아지'를 잡고 잔치를 벌인 것은 다시 돌아온 아들로 인한 기쁨의 절정을 표현해준다.
하나님게 우리는 이미 죽었고, 이미 잃어버렸으며, 흑암의 권세 아래 빼앗겼던 자들이었다.
그런데 하나님께서 그런 우리를 다시 찾으시고 건져내셔서
그의 사랑의 아들의 나라로 옮기심으로 아들의 지위를 회복시키셨다(골 1:13).
우리가 한 일이나 하지 않은 일 때문이 아니라, 단지 아들이기 때문에 회복시키시고
소중히 여기시는 하나님의 조건 없는 사랑 앞으로 나아가자.
'집 밖에 있던 탕자'와 '집 안에 있던 탕자'의 모습이 대비된다.
작은 아들은 아버지 집을 떠나 자신의 욕망을 따라 허비하는 인생을 살았다.
큰 아들은 아버지 집 안에 있었지만 계산된 순종을 하며 아들이 아닌 종으로서의 인생을 살았다.
둘 다 잃어버린 아들이었다.
그러나 작은 아들은 돌이켜 회개했고, 큰 아들은 동생에 대한 아버지의 환대를 못마땅하게 여겼다.
회심한 세리와 죄인들의 모습과 이들을 환대하는 예수님의 모습을 못마땅하게 여기는
바리새인과 서기관들의 모습이 보인다.
그럼에도 '둘 다 잃어버렸으나 둘 다 사랑받는다'라는 이 이해할 수 없는 사랑이
우리 모두를 지금가지 있게 했고, 앞으로도 영원한 희망의 자리로 인도할 것이다.
둘 다 잃어버렸으나, 둘 다 사랑하시는 하나님의 넓은 사랑을 알게 하소서.
----------
[ 죽어 있는 아들을 다시 살리시는 하나님 ]
돌아온 탕자 이야기입니다.
돌아온 아들에게 하는 아버지의 말에 특이한 부분이 있습니다.
“이 내 아들은 죽었다가 다시 살아났으며 내가 잃었다가 다시 얻었노라.”
예수님은 이 탕자 이야기를 죽은 아들이 다시 살아나는 이야기로 들려주십니다.
이 이야기가 구원 이야기라는 뜻입니다.
보통 탕자 이야기를 집 나간 아들이 다시 돌아오는 이야기로 이해합니다.
구원을 회복, 원상복구 정도의 의미로 이해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잃었다가 다시 얻었다는 말은 이해가 가는데,
죽었다가 다시 살아났다는 말에는 고개가 갸우뚱거려집니다.
오늘 이 말씀을 죽었다가 다시 살아나는 이야기, 구원 이야기로 다시 되새겨 봐야겠습니다.
구원은 회복이나 원상복구가 아니라 죽은 자를 다시 살리는 일입니다.
죽었다가 다시 살아났다는 말씀이 무슨 뜻일까요?
헬라어 본문을 찬찬히 보니 더 이해하기 힘든 표현으로 되어 있습니다.
‘죽었다가’와 ‘잃었다가’가 미완료 동사로 되어 있습니다.
‘미완료’란 과거 어느 시점부터 지금까지 계속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 형태입니다.
그래서 ‘죽었다가’와 ‘잃었다가’의 미완료 동사는
‘계속 죽어 있다가’, ‘죽 잃어버린 상태에 있다가’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예수님은 둘째 아들의 상태를 ‘죽어 있었다’고 표현하고 있습니다.
지금 이 이야기가 단순히 집을 나갔다 돌아온 아들 이야기가 아님을 강조하고 계십니다.
이 아들이 언제부터 죽어 있었을까요? 자기 몫을 요구한 때부터입니다.
그때부터 아들은 더 이상 아들이 아니게 되었고 아들로서의 생명력을 잃어버렸습니다.
아버지의 아들로 살지 아니하고, 별개의 독립 개체로 살기를 원한 때부터 인간은 죽은 목숨이었습니다.
그 죽음을 명확히 인지하도록 만들기 위해 하나님은 인간을 집(에덴)에서 내보내십니다.
다시 살리기 위해서, 다시 아들로 찾기 위해서 그렇게 하십니다.
탕자가 자발적으로 집을 나간 것처럼 보이지만, 진실은 아버지가 아들이 나가도록 내버려둔 것입니다.
이미 아들이 아니기 때문에 참 아들로 회복시킬 기회를 얻기 위해 나가게 만든(?) 것입니다.
죽어있던 아들이 다시 아들로 살아나게 된 때는 언제일까요?
아버지께 몫을 요구한 것, 아버지로부터 독립한 것이 ‘죄’임을 자백한 순간입니다(18절).
아버지 안에 있지 않고 아버지 밖으로 향한 것이 죄(헬라어의 문자적 의미는 과녁을 빗맞힘)임을 고백한 때입니다.
그때 아버지는 아들의 지위를 회복시키십니다. 아들을 아들로 다시 살려내십니다.
같은 의미로 작은아들만 죽어있었던 것이 아니었습니다.
아버지의 것이 곧 자기 것이라고 여기지 못하고,
자기 것이 다 아버지 것임을 인정하지 못하고,
따로 자기 것을 챙겨주지 않았다고 불평하는 큰아들 역시 죽은 아들이었습니다.
예수님은 지금 오히려 큰아들에게 이 비유를 들려주고 싶어하십니다.
바로 이 비유를 말씀하게 만든 바리새인들에게 말입니다.
사실은 이 비유를 말씀하신 동기가 바리새인, 서기관들의 수군거림이었습니다.
그들의 수군거림에 대답하여 말씀하신 비유가 잃어버린 양 비유, 드라크마 비유, 탕자 비유였습니다.
마지막 탕자 비유에서 예수님은 의도를 명확히 드러내십니다.
“자, 작은아들은 다시 살아났는데, 너는 어떻게 할 거냐?
작은아들은 제 몫을 챙긴 것이 ‘죄’임을 자백했는데, 너 큰아들은 어떻게 할 거냐?
계속 니 것을 따로 챙기며 살 거냐?” 이렇게 물으십니다.
하나님을 믿는다 하면서, ‘나는 전능하신 아버지 하나님, 천지의 창조주를 믿습니다’라고 입술로 고백하면서
하나님과 딴 주머니를 차고 있다면 그것은 죽어 있는 상태라고 예수님께서 말씀하시네요.
하나님이 생명이십니다. 모든 생명은 하나님께로부터 나왔고 하나님에 의해 유지됩니다.
그러므로 하나님과 분리된 생명은 죽어 있는 생명입니다.
가지가 줄기에서 떨어지면, 여전히 생생해 보여도 사실은 죽은 것입니다.
꺾이는 순간 죽은 상태로 떨어진 것입니다.
하나님과 멀어진 것이 죄입니다. 하나님과 상관없이 살아가는 것이 죄입니다.
이 죄는 곧바로 죽음을 초래합니다.
6일 동안, 3일 동안 하나님과 상관없이 살다가
3일에 한 번, 일주일에 한 번 하나님께 연결되면 살아있는 것일까요, 죽은 것일까요?
가끔 예배드리러 하나님께 나온다고 해서, 하나님의 얼굴을 가끔 뵙는다고 해서
하나님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수 없습니다.
심지어 자주 하나님을 뵈어도 하나님과 분리된 상태일 수 있습니다.
큰아들이 그렇습니다.
아버지와 같은 집에서 살고, 아버지가 시키는 일을 하고 있는데도 사실은 죽은 아들입니다.
무엇이 아버지와 내가 연결된 상태임을 확인해 줍니까?
아버지 것이 다 내 것임을 고백하는 믿음입니다.
내 것이 다 아버지 것임을 인정하는 믿음입니다.
나의 모든 것이 아버지 것임을, 아버지의 모든 것이 또한 내 것임을 고백하는 믿음입니다.
내 돈, 내 시간, 내 몸, 내 목숨이 다 아버지의 것임을 인정하는 믿음입니다.
이런 믿음의 사람에게는 다른 아들들이 많이 가진 것, 노력한 것보다 더 받는 것에 대해
부러워하고 못마땅해하는 마음이 없어집니다.
다른 아들이 가진 것이 다 아버지의 것이고, 아버지의 것은 다 내 것인데, 뭘 못마땅해합니까?
다른 아들에게 맡겨진 것이 많아지더라도, ‘아버지 것 곧 내 것이 많아지는구나!’ 생각하며 기뻐할 수 있습니다.
그것이 내게 필요하면 아버지가 언제든지 쓸 수 있게 해 주실 텐데,
아버지 하나님께서 한 번도 나를 부족하게 하신 적 없으신데,
왜 더 가진 사람을 부러워하며 더 주시지 않는 것에 대해 불평하겠습니까?
주 하나님, 하나님이 내 아버지이신 것을 확실히 믿게 하여 주옵소서.
내 것을 따로 챙기려 하지 않는 믿음을 분명히 고백하며 살아있는 자로 살게 하여 주옵소서.
아멘!
'2025년 영성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뒤바뀐 운명 (0) | 2025.03.28 |
---|---|
옳지 않은 청지기 (0) | 2025.03.27 |
한 영혼의 가치 (0) | 2025.03.25 |
제자도 (0) | 2025.03.24 |
좁은 문, 좁은 길 (0) | 2025.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