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누가복음 16장 1-13절
읽을 때마다 이해가 됐다가 또 지나면 헷갈리는 본문이다.
어떤 부자에게 청지기가 있어서 주인의 재산을 낭비한다는 이야기가 주인에게 들린다.
주인이 청지기에게 장부를 가져오라고 명하자, 자신의비리가 탈로난 것을 알고
해고될 것을 생각하며 앞으로 살아갈 궁리를 한다.
꽤를 내어 대출해준 장부를 가져다가 조작하여 대출받은 자들에게 선심을 쓰면,
해고된 후에 이들에게서 도움을 얻을 것으로 생각하고 대출 장부를 조작한다.
그런데 본문은 이 청지기를 빛의 자녀들보다 더 지혜롭다고 칭찬한다.
"그리고 불의의 재물로 친구를 사귀라
그리하면 그 재물이 없어질 대에 그들이 너희를 영주할 처소로 영접하리라."
문자적으로만 보면 주님이 어떻게 불의를 인정하고 불법을 칭찬하시며
불의한 재물로 친구를 사귀고 자신의 안위를 취하라고 하시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
이어지는 본문도 난해하기는 마찬가지다.
"만일 불의한 재물에도 충성하지 아니하면 누가 참된 것으로 너희에게 맡기겠느냐
너희가 만일 남의 것에 충성하지 아니하면 누가 너희의 것을 너희에게 주겠느냐"
---------
[다스리는가, 다스림받는가?]
주인의 소유를 낭비한 것이 드러난 청지기는 해고 위기에 처한다.
그 위기를 극복하고 미래를 대비하기 위해 청지기는 묘안을 생각하고 실행해 옮긴다.
바로 주인에게 빚진 사람들을 불러서 주인 몰래 임의대로 빚을 탕감해준 것이다.
여전히 '옳지 않은 청지기'로 불리는 것을 보아 청지기의 술수 자체는 옳다고 인정할 수 없다.
하지만 청지기가 멋대로 탕감해준 사람들은 주인의 은혜를 칭송할 것이고,
주인이 영광을 받는 결과가 생길 것이다.
이렇듯 옳지 않은 청지기도 돈을 은혜를 베푸는 일에 사용하면,
지혜로 인정받고 주인이 영광을 얻는데,
하물며 하나님의 자녀들이 돈을 이웃을 섬기는 데 사용하면
얼마나 하나님이 기뻐하시고 영광을 받으시겠느냐는 것이 이 비유의 의미이다.
나에게 돈은 어떤 대상인가? 혹시 통장의 잔고가 마음의 안정의 근거가 되거나,
돈 자체가 인생의 목적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지는 않는가?
돈을 나누고 베풀고 섬기며 사람을 얻는 데 사용하라고 주신 유용한 도구임을 기억하자.
돈(지극히 작은 것)에 대한 태도가 하나님 나라의 참된 가치를 추구하는지 확인하 ㄹ수 있는 시금석이다.
'내 것'이라는 인식에서 행한 모든 행위는 혹 그것이 선행일지라도 주님의 인정을 받지 못할 것이다.
돈은 오직 '하나님의 것'이라는 믿음 안에서 '청지기 정신'으로 그분의 뜻을 따라 사용함이 마땅하다.
돈 차제에 충성하지 않고, 돈을 바르게 사용하는 일에 충성하자.
돈이 가치중립적이라고 해서 가볍게 무시할 만한 대상은 아니다.
돈은 '정당하게' 얻고 '적당하게' 사용하면 삶을 풍요롭게 하는 유익한 대상이 되지만,
그것을 추구하고 집착하는 순간 '하나님'을 대신한다.
우리의 마음을 장악하고 우리의 섬김을 요구하는 우상이 된다.
그래서 예수님은 하난미과 재물을 겸하여 섬길 수 없다고 말ㅆ므하셨다.
하 ㄴ사람의 충성은 결코 나뉠 수 없기에 누구의 종이 될지 하나만 선택할 수 있을뿐이다.
돈은 '섬김의 대상'이 아니라 하나님의 기뻐하시는 뜻을 따라 '사용할 대상'이다.
돈의 노예가 되지 않고 하나님을 주인으로 섬기는 지혜로운 청지기로 살게 하소서.
------------
[ 불의의 재물을 바르게 사용하는 청지기 ]
하나님의 말씀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하나님의 관점을 가져야 합니다.
재물(소유)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하나님의, 예수님의 재물관이 10-12절에 잘 나타나 있습니다.
같은 뜻인데 표현을 달리하여 두 번 세 번 반복하여 강조하고 있습니다.
본문에 나와 있는 ‘주인’을 하나님으로 생각하지 않으면 본문 말씀을 이해하기가 힘듭니다.
지혜롭다, 충성되다는 말의 뜻도 하나님의 관점에서 생각하지 않으면 무슨 소린지 알아들을 수 없습니다.
이 관점의 차이를 생각하며 본문 말씀을 들어야 하겠습니다.
'지극히 작은 것에 충성해야 한다, 불의한 재물에 충성하지 아니하면 안 된다, 남의 것에 충성하지 아니하면 안 된다.'
다 같은 말입니다. 다시 표현하면 이렇습니다.
지극히 작은 것에 충성해야 => 큰 것을 받을 수 있다(10절).
불의한 재물에 충성해야 => 참된 것을 받을 수 있다(11절).
남의 것에 충성해야 => 너희의 것을 받을 수 있다(12절).
'지극히 작은 것=불의의 재물=남의 것' 의 등식이 성립합니다.
'큰 것=참된 것=너희의 것'이라는 등식도 마찬가지로 성립합니다.
이 지극히 작은 것, 불의의 재물, 남의 것이 가리키는 것이 무엇일까요?
'불의'란 표현은 인간 대부분이, 대부분의 경우에
하나님의 것(=남의 것)을 내 것으로 여기며 사는 불의를 행하고 있음을 넌지시 꼬집으신 말입니다.
하나님이 주인이심을 잊은 것, 부인하는 것이 근본적인 죄요 불의입니다.
인간 사이에 주종 관계, 상하관계는 지키려고 애쓰면서도,
하나님과의 주종 관계는 예사로 무시하는 것이 인간입니다.
왜 그럴까요? 하나님이 이상한 주인이기 때문입니다.
사람의 주인 노릇과는 너무나 다른 것이 하나님의 주인 되심입니다.
본문에 등장하는 주인이 그런 주인 됨을 보여 줍니다.
이 주인은 참 이상한 사람입니다.
낭비한다고 청지기를 쫓아내던 사람이, 주인의 것을 마구 퍼 주는데도 잘한다고 칭찬을 합니다.
우리 생각에는 이거야말로 주인의 것을 허비하는 일인 것 같은데 말입니다.
이 주인이 생각하는 낭비와 우리가 생각하는 낭비가 서로 같지 않음을 알 수 있는 대목입니다.
이 주인의 가치관과 우리의 가치관이 너무나 다름을 알 수 있는 대목입니다.
이 주인이 재물(청지기에게는 아직 '남의 것'입니다)을 맡겨놓고서 청지기에게 기대하는 것이 있습니다.
그것은 그 재물을 주인의 직접적인 필요를 위해 사용하는 것이 아닙니다.
주인의 재산을 불려주기 원하는 것도 아닙니다.
주인은 청지기가 그 재물을 가장 효과적으로 투자하는 법을 배우기 원합니다.
결과적으로는 그것은 주인에게보다 청지기 자신에게 가장 유익한 일입니다.
이 청지기가 맡겨진 재물(불의의 재물)을 지혜롭게 사용하는 훈련을 잘 마치고 나면,
그는 주인의 양자가 될 약속을 받았기에 그렇습니다.
결국 청지기에게 주인이 원하는 것은
청지기 자신을 위해 불의의(맡겨진) 재물을 바르게 사용하는 것입니다.
주인은 청지기가 자기에게 맡겨진 재물을, 아직은 온전히 자기 소유로 확정되지 않은 재물을,
정말 자기에게 유익되게 사용하기를 원합니다.
엉뚱한 곳에 써서 낭비하지 않고,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자신에게 진정으로 유익되게 하기를 원합니다.
이 주인이 누구이겠습니까?
주 하나님이 아니고서 이런 주인이 또 있겠습니까?
하나님 아버지께서는 우리가 불의한 재물(남의 것=아직 내 것으로 상속해 주시기 전의 하나님 아버지의 것)을,
이웃을 위해 사용하기 원하신다는 말씀이네요. 이웃을 만드는 데 쓰기 원하신다는 말씀이네요.
진정한 이웃 곧 영원한 처소에서 영원히 함께할 영원한 동반자를 사귀는 데에,
우리가 이 땅에서 천국에 가져갈 수 있는 유일한 보물(이웃)을 만드는 데에,
아낌없이 사용하기를 바라신다는 말씀이네요.
이것을 방해하는 것이 우리의 사욕입니다. 욕심입니다.
사실 이것이 '죄'의 핵심입니다(욕심이 잉태한즉 죄를 낳고...).
하나님의 것을 내 사유물로 만들어버리는 것,
하나님의 것인 나 자신(목숨)을 하나님으로부터 분리해버리는 것,
하나님의 창조물을 하나님의 뜻대로 지혜롭게 사용하지 않고 어리석은 욕심을 따라 사용하는 것,
이것이 죄의 본질입니다.
특히 우리가 가깝게 애착을 가지고 있는 것일수록 우리의 사욕을 부추길 가능성이 많습니다.
부모, 처자, 형제, 내 목숨까지도 미워하라는 말씀은 이런 사욕을 경계하라는 말씀입니다.
우리의 주인이신 하나님은 이상한 주인이십니다.
주인이신데 자기를 위해 재물을 사용하라 하지 않고
주인의 재물을 사용하여 종들 자신에게 가장 유익한 일을 하기를 원하는 주인이십니다.
이 하나님의 마음을 알고, 주인의 뜻대로 주인의 재물을 잘 사용하면
주인께서 그 종을 양자로 삼아 모든 소유를 맡겨 주십니다.
이것이 우리에게 임시로 종의 역할, 청지기 역할을 맡기시며
자녀의 소망을 약속하신 하나님의 뜻입니다.
좋으신 하나님, 하나님의 것을 내 욕심대로 사용하고 있던 이 불의한 청지기를
불쌍히 여기시고 기회를 주심에 감사드립니다.
불의하지만 지혜로운 청지기 되기를 원합니다.
내 것이 아닌 지식과 건강과 재물을,
여전히 믿고 기대하며 맡겨 주시는 하나님의 뜻에 따라
충성스럽게 사용하는 훈련 시켜 주옵소서.
하나님의 것을 가지고 진짜 내 것을 만드는 것에 부지런히 투자하도록 지도하여 하옵소서.
성령님, 셈할 때가 가까움을 수시로 깨우쳐 주옵소서.
아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