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영성일기 111

혼돈에 빠진 이스라엘

본문 : 열왕기하 15장 23-38절 스가랴-살롬-므나헴-브가히야-베가-호세아로 이어지는 연쇄적인 내란이 .이스라엘의 얼마나 혼란스러운지를 극명하게 보여준다.한 나라가 망해가는 모습을 바라본다. 그런데 왕조가 아무리 전복되어도 이스라엘의 마음은 한결같이 악하다.진정한 개혁은 체계의 전복이 아니라 마음의 전복이다.마음과 신앙이 달라지지 않으면 혁명이 일어나도 다시 제자리다.외형은 아무래도 상관없다는 말이 아니다.마음을 찢고 죄를 절연히 끊어낼 때 개혁다운 개혁을 이룰 수 있다. 인생을 살면서 수없이 당하는 문제와 고난도 양상과 상황만 다를 뿐 비슷하다.이런 고난 앞에 임하는 우리 마음가짐이 바뀌어야 한다.처음 고난을 당할 때와 두번째, 세번째 당하는 고난에 마음과 자세가 달라야 한다. 그래야 고난이 유익이..

아마샤의 순종과 교만

본문 : 열왕기하 14장 1-16절 요아스의아들 아마샤가 25세에 왕위에 오른다, 그의 어머니는 예루살렘 사람 여호앗단이다.그는 아버지 요아스의 행한대로 다 행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그러나 그도 산당을 제거하지는 못하여 산당에서 제사가 계속 드려지게 방치했다. 왕권이 안정되자 아버지를 죽인 자들을 죽이지만 율법에 따라 자녀들은 살려준다.다윗 만큼은 아니어도 작은 순종의 모습에 하나님이 은혜를 베푸신다. 유다를 굳건하게 하시고 에돔 정복으로 값아주신다.선왕 요호람이 빼앗긴 세일 땅을 되찾고 육드엘(하나님에 의해 정복된 곳)이라 불렀다. 그러나 전쟁의 승리에 교만해진 아마샤는 승리의 영광을 하나님의 은혜로 돌리지 않고 교만해져 세일 신,에돔의 우상을 가지고 들어와 우상숭배에 빠지고 만다.선지자가 잘못을 지적..

엘리사의 죽음과 요아스의 소극적 순종

본문 : 열왕기하 13장 1-13절 위대한 선지자 엘리사가 죽을 병이 들자 요하스 왕이 병문안으로 찾아 와서눈물을 흘리며 "내 아버지여 내 아버지여 이스라엘의 병거와 마병이여"라고 부른다. 여로보암의 길로 걸아가고 있지만 왕에게 엘리사는 육신의 아버지 이상의 기댈 언덕이었다.자기를 찾아온 왕에게 화살과 활을 가지고 동쪽을 향해 쏘게 하고, 땅을 치라고 한다.그러나 왕은 화살로 땅을 세 번 치고 만다. 왕의 그런 소극적인 행동에 향후 결과를 예언하는 엘리사의 마음이 편치 않다. 지금 엘리사가 자기에게 지시하는 행위가 무엇인지 생각했더라면 그렇게 했을까? 죽음 앞에서도 하나님의 백성들을 구원하기 위한 선지자의 수고와 아브라함, 이삭, 야곱의 언약을 생각하시고 구원의 손길을 내미시는 하나님의 모습이다.  엘리..

여로보암의 죄의 답습

본문 : 열왕기하 13장 1-13 북이스라엘의 예후가 28년을 다스렸고그의 아들 아하시야는 17년간 왕위에 있었으며그의 아들 요하스도 16년간 이스라엘을 다스렸다. 예후 때에는 요단강 동편의 르우벤과 갓과 므낫세 반지차의 땅이 아람에게 넘어갔다.아하시야때는 이스라엘의 멸절 위기에 처할 정도로 아람의 침략을 당했다.요하스 때는 힘 없는 약소국가로 존재했다. 오늘 본문에서 두 왕을 평가하면서 여호와께서 보시기에 악을 행하여 이스라엘에게 범죄하게 한느밧의 아들 여로보암의 죄를 따라가고 거기서 떠나지 아니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하나님과의 관계를 거듭 강조하시고, 그 관계를 기준 삼아 나라의 앞날을 정하신다. 북 이스라엘 왕들을 평가할 때 하나님의 기준은 여로보암의 죄였다. '여로보암의 죄'란 무엇인가?분열 왕..

요아스의 인생

본문 : 열왕기하 12장 1-21절 요하스는 아버지의 얼굴도 기억하지 못하고 살았다. 그의 어머니는 브엘세바 사람 시비아다.생후 한살 때 아버지는 외숙 여호람을 병문안하러 이스라엘에 갔다가 예후에게 살해당했다.왕비 그다랴의 피비린내 나는 왕의 후계자들의 숙청 속에서 구사일생으로 살아 남았다.그리고 고모 여호세바와 대제사장 여호야다의 도움으로 6년을  성전에서 숨어 살다가여호야다의 혁명으로 드디어 일곱살에 왕위에 올랐다.여호야다가 살아있는 동안에는 여호와 보시기에 정직하게 행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그의 도움으로 나라는 안정되고 두 아내를 얻어 자녀를 두었다.다윗 왕위는 계승되었으며, 아달랴의 아들들이 파괴한 성전을 보수하기도 하였다.본문은 제사잗르의 게으름을 기록하지만 역대하는 레위인들의 탓으로 기록되어 ..

여호세바와 여호야다의 공로

본문 : 열황기하 11장 1-21절 아합과 이세벨의 달 아달랴는 정략적 결혼으로 남 유다의 여호람의 아내가 되었다.여호람의 아들들이 대부분 아라비아의 침략으로 죽었고 아하싣야만 살아 남았는데길르앗 라못의 전쟁에서 부상한 외숙 요람을 병문안을 갔다고 예후의 손에 죽자그의 어머니 아달랴는 왕위를 계승할만한 왕손들을 다 죽이고 스스로 왕위에 오른다.이세벨 못지 않은 바알 신앙으로 무장된 그녀가남유다를 바알 우상숭배의 나라로 만들어가려는야망의 발톱을 들어내고 실행에 옮기고 있었다. 그러나 여호람의 딸,아하시아의 누이인 여호세바가 숙청의 피바람 속에서아하시아의 어린 아들 한살 된 요하스를 구해내  유모와 함께 성전에 숨기고 6년을 양육했다.하나님은 어떤 불리한 상황에서도 교회를 지키시고,교회를 통해 하나님의 듯을..

하나님의 심판

본문 : 열왕기하 10장 1-17절 예후의 아합 일가에 대한 심판은 계속된다.요람, 이세벨에 이어 70명의 아합의 아들들과 아합 가문 사람들과 측근들거기다 아하시아의 42명의 형제들까지 살해한다. 예후는 레갑을 자기 편으로 끌어들이고 "여호와를 향한 나의 열심을 보라" 고 호기를 과시한다. 악의 근원까지 철저하게 심판하신다.하나님의 심판을 집행하는대행자로 기름주음 받은 예후는아합 일가와 관련된 이들을 철저하게 숙청한다.이로써 아합 가문에 속한 모든 남자는 이스라엘 가운데서신분에 관계없이 멸절될 것이라는 예언이 그대로 성취되었다.(왕상 21:21)아합 왕가는 영원한 제국 같았고 철용성처럼 견고해 보였지만,하나님의 심판의 칼을 꺼내 드시자 바람에 나는 겨와 같이 사라져버렸다.(시 1:4,5)악인의 성공을 부..

악인들의 최후

본문 : 열왕기하 9장 27-37절 열왕기하 9장의 예후에 대한 이야기이다.엘리사에게 기름 부음 받은 엘리사는 동료들에게서 왕으로 추대되고이스라엘의 수도 사마리아로 진군해 가면서 반란의 세력을 키워나간다. 결국 아람과의 전쟁에서 부상으로 치료 중이던 요람 왕을 죽이고이스르엘에 와 있던 남유다 아하시야도 므깃도에서 살해되고 만다.이제 왕후 이세벨을 죽이는 상황이다. 아하시야는 죽었으나 신복들에 의해 다윗성의 조상들의 묘에 들어간다.그러나 반란의 소식과 요람왕이 죽었다는 소식을 들은 이세벨은 그 상황 중에서도 화장을 하고  허세를 부리며 예후를역모로 왕이 되었다가 7일만에 오므리에게 죽임을 당한 군 지휘관인 '시므리'라 부르며 '평안하냐'고 묻는다.  그러나 내시 두어명이 이세벨을 성 밖으로 집어 던지자 처..

신뢰와 응답

본문 : 열왕기하 6:1-14절 책은 열왕기인데 본문은 선지자 엘리사의 사역을 계속 기록하고 있다.오늘 본문은 선지자의 제자들이 기거하는 장소가 협소하여요단에 새로운 거처를 마련하기 위해 나무를 벌목하다가 발생한 사건이다.제자 중 한 명이 빌려온 도끼를 사용하다가 도끼가 물에 빠지고 말았다.당황한 제자가 선지자에게 사실을 고하자엘리사는 나무를 베어 물에 던지자 도끼가 물 위로 떠오른다.제자가 손을 내밀어 도끼를 집었다.   동화같은 단조로운 이야기 속에서 영적 의미를 찾는다.'묻고' - '듣고' - '함께하고' - '찾고' - '따르는 모습'은제자들만의 이야기가 아니라 이스라엘을 향한 하나님의 오랜 기대와 바람이고 언약의 요체이다. 부모와 자녀의 관계, 하나님과 백성의 관계 말이다.요즘  4살인 외손녀가..

아람 장군 나아만의 일

본문 : 열왕기하 5장 1-27절 아람 왕의 군대 장관 나아만은 그의 주인 앞에 크고 존귀한 자였다.여호와께서 그를 통해 아람을 구원하게 하셨다.성경은 여호와께서 그를 큰 용사로 만드신 의도가 있었음을 암시하고 있다. 그러나 큰 용사에게도 아픔이 있었으니 그는 나병환자였다. 전쟁 포로로 자기 집에 잡혀 온 여자 아이가 나아만의 아내에게 이렇게 말한다."우리 주인이 사마리아에 계신 선지자 앞에 계셨으면 좋겠나이다. 그가 그 나병을 고치리이다."물에 빠진 사람이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그 아이의 말을 따른다.그가 얼마나 나병 때문에 힘들었는지를 가늠할 수 있다. 그는 왕에게 나아가 자초지종을 설명하고 치료 받기를 간청한다.왕이 나아만을 보내며 함께 보내는 선물의 정도를 보면그가 얼마나 아람에 큰 용사이고..